

웹 프로그래밍 스쿨 19주 차 포스팅입니다!😃 이번 주 자료구조 시간에는 자료구조의 노드들을 재방문 없이 방문하는 순회와 관련된 알고리즘과 List와 Linked list의 장단점, BST와의 비교, Heap에 대해 공부했는데요! 그중 Database와 File system에서 사용되는 자료구조인 b+ tree의 기초가 되는 BST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1. BST (Binary Search Tree)의 조건 모든 원소는 서로 다른 키를 가진다. 왼쪽 서브 트리에 있는 모든 키들은 루트의 키보다 작다. 오른쪽 서브 트리에 있는 모든 키들은 루트의 키보다 크다. 왼쪽 서브 트리와 오른쪽 서브 트리도 이진 탐색 트리이다. 2. BST의 장점 BST는 파이썬의 list와 linked list 둘의 단점을 모..


웹 프로그래밍 스쿨 18주 차 포스팅입니다!😃 이번 주에는 자료구조/알고리즘 수업 시작과 함께 파이널 프로젝트인 프론트엔드 스쿨 및 ios스쿨과의 팀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설레는 마음으로 주제 및 팀원 공개를 기다리고, 어색한 인사를 거쳐 주제를 정하는 회의를 진행하게 되었는데요! 회의를 진행하면서 웹과 앱모두 카피가 가능한지, 구현을 함에 있어 난이도는 적절한지, MVP(Minimum Viable Product)는 어느정도가 적절할지, 스쿨 별로 부각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를 고려했고 역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세 스쿨 모두 하고 싶은 주제인지 였던 것 같습니다. 기나 긴 회의 끝에 저희 팀은 넷플릭스를 선택하게 되었는데요 요즘 트렌드인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구성에 대한 궁금증, 화려한 메인화면,..


django.core.exceptions.ImproperlyConfigured: Requested setting INSTALLED_APPS, but settings are not configured. You must either define the environment variable DJANGO_SETTINGS_MODULE or call settings.configure() before accessing settings. 해결방법 $ export DJANGO_SETTINGS_MODULE='config.settings'


웹 프로그래밍 스쿨 17주 차 포스팅입니다!😃 이번 주는 장고수업이 끝나서 다른 수업 없이 두 번째 해커톤 준비 및 진행과 컴공 심화과정 수업을 위해 다시 돌아오신 양강사님과의 상담 및 선배와의 티타임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에 티타임에 참가 해주신 선배님은 회사 업무를 진행하면서 막히는 부분을 고민하고, 트렌드 파악을 위해 대외활동을 하고, 헬스를 하고, 코드를 리팩토링 하면서 정말 바쁘게 지내시는 분이었는데요! 티타임이 끝나고 나니, 같은 비전공자로서 이대로 현업에 가게 되면 적어도 몇 년은 이런 바쁜 일상을 보내게 될 텐데 언젠가는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는 이 두꺼운 기본 서적들은 언제 공부해야 할지, 실무에서 헤매지 않기 위해 코드 짜는 연습을 먼저 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생겼습니다.😂 이런 고민을..

1. 구글 사전 역에서, 승객이 열차를 타고 내리기 쉽도록 철로 옆으로 지면보다 높여서 설치해 놓은 평평한 장소. 승강장. 2. IT 에서의 플랫폼 기반 OS나 기술환경들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3. 하드웨어 플랫폼 표준 공정을 통해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내는 기반이나 도구를 지칭 4. 소프트웨어 플랫폼 CPU와 OS등의 실행환경이 달랐던 시기에 Java와 브라우저가 보급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들이 하드웨어가 아닌 Java 및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만들어지기 시작 그러자 윈도우, 브라우저, 자바 등을 플랫폼으로 부르기 시작 5. 서비스 플랫폼 자사의 어플리케이션 컨텐츠를 API를 이용해 다른 서비스들이 자기 것처럼 쓸 수 있게 해주는 것 트위터나 페이스북이 등장하면서 주목을 받음 ..


웹 프로그래밍 스쿨 django 수업 9주 차 포스팅입니다!😃 이번 주를 끝으로 django 수업이 모두 끝이 났습니다! 장고 튜토리얼을 시작으로 장고의 MVT구성을 살펴보고 함수형 뷰로 코드 짜기, 클래스형 뷰 파헤쳐보기, 각종 도메인 만들어보기, aws를 이용한 서버 구축 및 배포까지 약 두 달간 많은 걸 한 것 같아서 뿌듯하면서도 얼마만큼 제대로 흡수해서 내 것으로 만들었는지를 생각하면 조금 아쉬운 두 달이었던 것 같습니다. 강의를 시작 하기 전인 두달 전과 비교를 해본다면 가장 큰 변화가 생긴 부분은 브라우저 상에서 보기만 했던 것들을 이제 뭔가 만들어 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는 것이고, 변하지 않은 부분은 공부를 한다고 했는데 아직도 공부할게 아주 많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남..